책 추천
-
<책추천> 빠르게 부자 되는방법! 부의 추월차선 리뷰책 추천 2020. 4. 18. 08:53
부의 3요소 가족(Family, 관계) 신체(Fitmess, 건강) 자유(Freedom, 선택) 흔히 '부'라고 하면 굉장히 큰 금액의 돈을 떠올렸는데, 이 책의 작가는 부의 3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우리가 가장 행복감을 느낄때는 언제인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 둘러싸여 가족같은 관계에서 오는 충만함을 느낄때 가장 큰 행복감을 느낀다고 한다. 가족 친구 연인등의 사람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영화 또한 굉장히 많이 나와있다. 신체가 건강하지 못하면 행복할 수 없다. 돈이 아무리 많은 부자여도 시한부 판정을 받는다면 무슨소용이 있을까 자유는 우리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원하는 일을 할 수 있는것이다. 돈이 없으면 기본적인 생활이 불가능하게 되고 직장을 다닌다면 원치 않은 일을하며 시간을..
-
<책추천> 조던 피터슨, 12가지 인생의 법칙, 제2법칙책 추천 2020. 4. 10. 14:48
자기자신을 도와줘야할 사람처럼 대하라 Treat yourself someone you are responsible for helping 세상은 질서와 혼돈 그리고 그 둘을 중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있다. 예를 들어 규칙적이고 안정된 생활을 '질서'라고 한다면 그것을 깨는 질병 사고는 혼돈이라고 할 수 있다. 질서와 혼돈은 성경의 창세기를 보면 들여다 볼 수있는데 하나님이 아담을 만드시고 아담의 갈비뼈로 하와을 만들어 고통없는 질서세계를 창조하셨다. 하지만 질서에 혼돈이 들이닥치는데 뱀이 하와를 꼬드겨 하와는 선악과를 먹게 되고 아담도 선악과를 먹게하여 그 둘은 원죄를 앉고 여자는 출산의 고통과 생물학적으로 남성에게 종속될 수 있는 고통을 남자는 평생 노동을 해야 먹을 것을 얻을 수 있는 고통을 받게 된다..
-
<책추천> 리딩으로 리드하라 실전편, 생각하는 인문학 리뷰책 추천 2020. 4. 2. 16:19
치열한 입시경쟁 ⇒ 취업경쟁 ⇒ 자본지옥으로 이어지는 시대 우리는 세계 최악의 교육을 받고 자랐다. 1. 일제의 식민교육 2. 공장 노동자와 직업군인을 양성하기 위해 설계된 프러시아 교육을 이어받은 미국 공립학교 교육 3. 친일파의 우민화 교육 4. 군사정권의 독재교육 학창 시절을 생각해보면 나는 문제풀이에 집중된 주입식교육 즉 생각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교육을 받지 못했다라는 인식조차 없었다. 그 당시에 뒤처지면 안된다는 강박과 경쟁 의식속에서 별 문제없이 받아들인 교육덕분에 나의 생각회로는 '쓰레기'가 되어 버린것이다. 일제 시대때 사용하기 편한 노예들을 만들기 위해 선택했던 우민화교육, 이치를 캐는 자를 적도록 만들고 실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많이 만드는것이 목표인 교육, 스스로 생각하지 못하게 하는 ..
-
<책추천> 조던 피터슨, 12가지 인생의 법칙, 제1법칙책 추천/조던 피터슨 2020. 4. 2. 15:04
어깨를 펴고 똑바로 서라. Stand up straight with your shoulders back 분명히 단순히 자신감을 가지고 살아가라는 뜻이 아닐것이다. 조던 피터슨이 무슨 생각을 가지고 12가지의 법칙중 하나의 제목을 결정했는지 그리고 가장 첫번째 법칙으로 둔 이유가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을 먼저해보았다. 어깨를 펴고 똑바로 설 수 있다는것은 양심적으로 살아왔거나 자신의 말을 행동으로 증명해온사람의 자신감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양심적으로 언행일치의 삶을 살아야된다는 메세지인가?라는 생각을 먼저 해보고 본문을 읽어보았다. 바다가재를 예를들어 싸움에 승리한 수컷은 세로토닌이 분비되어 더 당당하고 위협적이 자세 취하게 되고 계속 승리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좋은 보금자리를 차지하게 되고 암컷..
-
<책추천> 10억 라이프해커 자청 추천도서, 클루지 리뷰책 추천 2020. 3. 31. 15:26
자기계발과 성공에 관심이 많으신 분이라면 한번쯤 들어보셨을 클루지입니다! 저도 유튜버 라이프해커 자청님의 영상을 보고 '타이탄의 도구' (자청님 유튜브를 보셨으면 아실^^)를 모으고자 책을 읽고 글을 쓰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인간의 신체는 진화의 과정을 거치며 더 발전되었지만 완벽하지는 않았기에 생긴 결함들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직립보행을 하게 되면서 도구를 사용하였지만 사족보행에 최적화된 일자 척추는 직립보행을 하게 되면서 척추가 견더야할 하중이 들어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고질적인 척추 질병을 안고 살아가게 되었습니다. 또한 신경세포에서는 굉장히 효율적인 전기신호를 주고 받다가 왜 뇌의 시냅스에서는 갑자기 화학물질을 흩뿌리는 방식으로 신호를 주고받을까요?? 공학자의 관점에서 인간의 신체는 결코 완벽하게 ..